회사 직급 순서 완벽 정리: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한눈에 파악하기

취업 준비생이나 이직을 고민하는 분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회사 직급 체계'인데요. 오늘은 한국 기업들의 직급 순서를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려고 합니다. 대기업, 중소기업, 외국계 기업, 스타트업까지 각 기업 유형별 직급 체계를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회사 직급 순서


1. 전통적인 한국 대기업 직급 체계


한국 대기업의 전통적인 직급 체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됩니다.


일반 직원 직급 (상향식)


  • 사원/주임 (1~3년차)
  • 대리 (4~6년차)
  • 과장 (7~10년차)
  • 차장 (11~15년차)
  • 부장 (16년차 이상)
  • 이사 (부장 이상 승진)
  • 상무/전무
  • 부사장
  • 사장/대표이사
  • 회장

💡 실제 사례: 삼성전자의 경우 2016년 이전에는 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상무-전무-부사장-사장-회장의 체계였으나, 이후 '마(Master)-프(Professional)-책(책임연구원)-수(수석연구원)-펠로우'의 5단계 체계로 개편했어요.

대기업들은 최근 직급 단순화 추세에 따라 4~5단계로 축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SK그룹은 '프로-시니어-프로페셔널-리더'의 4단계 체계를 도입했죠.


2. 중소기업 직급 체계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직급 단계가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인 중소기업 직급 체계

  • 사원
  • 주임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이사/상무
  • 대표이사

중소기업은 회사 규모와 업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일부 기업은 '주임' 직급이 없거나 '차장'과 '부장' 사이에 '팀장'이 있는 등 변형된 형태를 보이기도 합니다.


제가 이전에 다녔던 50인 규모의 중소기업은 사원-대리-과장-부장-이사의 5단계 체계였는데, 승진 속도가 대기업보다 빨라서 5년 차에 과장으로 승진하는 경우도 많았어요.


3. 외국계 기업 직급 체계


외국계 기업은 본사 국가의 영향을 받아 한국과는 다른 직급 체계를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인 외국계 기업 직급 체계

  • Associate/Staff
  • Senior Associate
  • Manager
  • Senior Manager
  • Director
  • Senior Director
  • Vice President (VP)
  • Senior VP
  • Executive VP
  • C-Level (CEO, CFO, CTO 등)

외국계 기업의 특징은 직급보다 '직무'와 '역할'에 더 중점을 둔다는 점입니다. 같은 Manager라도 담당 업무와 책임에 따라 권한과 보상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 참고: 구글코리아의 경우 Associate, Senior Associate, Manager, Senior Manager, Director 등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직급보다는 직무 전문성을 더 중요시합니다.

 

4. 스타트업 직급 체계


스타트업은 전통적인 직급 체계를 탈피하고 보다 유연한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타트업 직급 체계 예시

  • 팀원/멤버
  • 시니어
  • 리드
  • 헤드/CXO

또는 직급 없이 직무만 표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디자이너
  • 시니어 디자이너
  • 프로덕트 매니저
  • 엔지니어링 리드

토스, 당근마켓 같은 유명 스타트업들은 '님' 호칭을 사용하며 수평적인 조직 문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직급보다는 역할과 성과에 따라 처우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죠.


5. 직급과 직책의 차이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부분이 바로 '직급'과 '직책'의 차이입니다.


직급 vs 직책


  • 직급: 개인에게 부여된 등급으로, 경력과 능력에 따라 결정됨 (사원, 대리, 과장 등)
  • 직책: 조직 내 맡은 역할이나 보직을 의미 (팀장, 본부장, 센터장 등)

예를 들어, '과장'이라는 직급을 가진 사람이 '팀장'이라는 직책을 맡을 수 있고, '부장' 직급자가 '팀원'으로 일할 수도 있습니다.


제 전 직장에서는 대리 직급이지만 팀장 직책을 맡아 부장급 직원들을 관리하는 경우도 있었어요. 직급과 직책이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6. 최근 직급 체계 변화 트렌드

최근 기업들의 직급 체계는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주요 변화 트렌드

  1. 직급 단순화: 10단계 이상이던 직급을 4~5단계로 축소
  2. 호칭 간소화: '님' 호칭 통일이나 영어 직급명 도입
  3. 직급 파괴: 네이버, 카카오 등은 '직위 체계'를 없애고 직무 중심으로 전환
  4. 역할 중심 체계: 직급보다 담당 역할과 성과에 따른 보상 체계로 변화

LG그룹은 2021년부터 '프로-스페셜리스트-리더'의 3단계 직급 체계로 단순화했으며, 현대자동차그룹도 '프로-시니어프로-리더-시니어리더'의 4단계 체계를 도입했습니다.


마치며


회사 직급 체계는 기업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취업이나 이직을 고려할 때는 해당 기업의 직급 체계뿐만 아니라, 승진 소요 기간, 직급별 권한과 책임, 보상 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직급보다 개인의 역량과 성과를 중시하는 문화로 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전통적인 직급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조직 문화를 찾는 것이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