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기업 구분 3단계 기준은?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구분 대표이미지

1. ✅ 기업 규모, 왜 중요한가요?

기업 규모에 따라 달라지는 것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 정부 세금 혜택

  • 공공 입찰 자격 조건

  • 정책자금 지원 여부

  • 청년 채용 지원제도

  • 병역특례 가능성

이 모든 것이 기업의 ‘대/중견/중소’ 구분에 따라 적용 여부가 달라집니다.


2. 🏢 기업 구분 3단계: 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정부는 대한민국 기업을 아래와 같이 크게 3단계로 분류합니다.

구분 기준 지표 대표 예시
대기업 자산총액 10조 이상 삼성, 현대차, SK
중견기업 자산 5천억 ~ 5조, 또는 업종별 매출 기준 하이트진로, 동원, 아모레
중소기업 업종별 매출/자본금/직원 수 기준 일반 중소 제조·서비스 기업

이 구분은 단순한 기업 크기 판단을 넘어 법적·행정적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3. 🔍 대기업 기준은 무엇인가?

공정거래위원회 기준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

  • 공시대상기업집단: 자산총액 5조원 이상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자산총액 10조원 이상 👉 찐 대기업

대기업 = 자산총액 10조 이상 기업
→ 삼성, LG, 현대차, SK, 롯데 등 48개(2025년 기준)

👉 참고자료: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 공시


4. 🧐 중견기업 기준은?

중견기업은 중소기업을 졸업한 기업으로, 자산총액 또는 매출 기준으로 구분됩니다.

✅ 자산총액 기준

  • 5천억 이상 ~ 5조 미만

✅ 매출 기준 (업종별)

업종 3년 평균 매출
제조업 1,000억~1,500억 초과
교육·임대서비스업 400억 초과

→ 중견기업은 ‘중소기업법’이 아닌 중견기업법에 따라 관리됩니다.
→ 2025년 기준 총 5,800여 개 존재


5. 📊 중소기업 기준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라 업종별로 다음 기준을 적용합니다.

업종 상시근로자 수 자본금 연매출액
제조·광업 300명 이하 80억 이하 1,500억 이하
도소매업·음식업 200명 이하 30억 이하 1,000억 이하
정보통신업 300명 이하 80억 이하 1,500억 이하
교육서비스업 100명 이하 10억 이하 100억 이하

✅ 3가지 요건(근로자수, 자본금, 매출)을 모두 만족해야 중소기업 인정

👉 확인처: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


6. 🧾 규모에 따라 달라지는 주요 혜택

항목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법인세 감면 일부
정책자금 지원 제한적
청년내일채움공제
병역특례 일부 가능 가능 가능
창업지원

※ 특히 스타트업/소상공인은 중소기업 기준 여부가 정부지원의 핵심입니다.


7. ❓Q&A


Q1.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A. 자산총액, 매출액, 상시근로자 수 기준에 따라 구분됩니다.
대기업은 자산총액 10조 이상, 중소기업은 업종별 매출·자본금·인원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Q2. 중견기업은 대기업인가요?

A. 아니요. 중견기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기업으로, 정부는 별도의 법으로 분류하고 관리합니다.


Q3. 우리 회사가 중소기업인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A.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https://sminfo.mss.go.kr)에서 사업자번호 입력 후 확인 가능합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